문화재청과 경상북도, 경주시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경주동부사적지대(발천) 수로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하여 오는 29일 오전 10시에 발천 유적에 대한 조사 현장을 공개한다. 또한, 29일 오후 1시부터 30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발천 복원정비 방안을 논의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현장공개와 학술대회는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시청이 가능하다.
발천은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월성 북쪽과 계림을 지나 남천에 흐르는 하천을 가리키는데 신라 시조 박혁거세 왕의 왕비 알영과 관련된 『삼국유사』의 기록에서 유래되었다.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방용)은 지난 2019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이곳에서 통일신라의 발천 수로 복원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왔다.
이번 발굴조사의 새로운 성과로는 첫째, 679년(문무왕 19)에 만들어진 ‘경주 동궁과 월지’와 연결된 것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고대 발천 수로가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새로 확인된 수로는 오랫동안 알려져 왔던 수로와는 다른 것으로, 이번 발굴을 통해 삼국 시대에는 넓었던 하천 폭을 통일신라에 들어서면서 좁혀서 사용했던 양상과 고려 전기까지 사용되던 하천이 이후 폐기되는 시점이 확인됐다.
두 번째 성과로는 760년(경덕왕 19) 축조된 경주 춘양교지와 월정교지보다 제작시기가 훨씬 앞서는 것으로 추정되는 7세기 후반 석교지를 발견한 것이다. 석교지는 너비 5.2m 정도의 조그만 하천에 비해 다리 너비가 교각을 기준으로 11m가 넘는 큰 규모로, 잘 다듬어진 장대석을 이용하여 양쪽 교대를 만들고 하부에는 교각과 교각받침석 7개가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이외에 난간석, 팔각기둥, 사각기둥과 청판석 등의 석재가 상부에서 흩어진 채로 확인되었다.
셋째는 석교지 남쪽과 북쪽으로 연결된 도로에 관한 것이다. 석교지 북쪽의 도로에는 초석(礎石)과 적심석(積心石)이 확인되어 기와집의 문지(門址, 문이 있던 자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문왕 3년(683) 왕궁의 북문에서 일길찬 김흠운(金欽運)의 어린 딸을 왕비로 정하고 성대하게 맞이하였다’는 『삼국사기』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이번 도로유구의 발굴은 신라왕궁 북문의 위치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로 서쪽 경계부는 잘 다듬어진 화강암으로 암거식 배수로를 설치하였으며, 통일신라 석교지와 연결되는 도로는 너비 20m 정도로, 잔자갈이 깔린 도로면 위에서는 수레바퀴흔적도 확인되었다.
한편,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원장 정규영)은 29일과 30일, 양일에 걸쳐 라한셀렉트 경주에서 「발천, 신라왕경의 옛물길」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발천의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앞으로의 복원정비를 위한 방향과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첫날인 29일에는 신라 왕경과 왕궁, 발천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발천 발굴조사 성과, 신라왕경의 홍수와 치수 등 4건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다음날인 30일에는 신라왕경의 배수체계를 통해 본 발천의 의의, 중국 수당(隨唐)시기 장안성의 수리시스템 연구 개술 등 6건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추진단은 경주시와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과 함께 지난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온라인 발굴현장공개(경주 황남동 120-2호분)를 진행한 바 있다.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의 하나인 이번 발천 발굴현장 공개와 학술대회 역시 직접 참여하기 어려운 국민을 위해 온라인(유튜브)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앞으로도 신라왕경사업추진단은 복원정비사업의 추진과정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널리 알릴 예정이다.
[보도자료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