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3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0.6포인트) 대비 0.6% 하락한 129.8포인트를 기록했다. 곡물을 비롯한 대부분 품목군의 가격이 하락했으나 설탕 가격은 상승했다.
2023년 2월 곡물 가격지수는 1월(147.5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47.3포인트를 기록했다. 밀의 경우 미국 주요 생산지의 가뭄과 호주산 밀의 수요 강세로 인해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기후 여건 악화, 브라질의 2기작 옥수수 파종 지연으로 가격이 상승했으나 미국산 옥수수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상승폭은 미미했다. 반면 쌀은 태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달러 대비 환율이 약화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유지류 가격의 경우, 전월(140.4포인트) 대비 3.2% 하락한 135.9포인트를 기록했다. 팜유는 동남아시아 등 주요 지역 생산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수요 둔화가 계속되며 가격이 하락했다. 대두유는 주요 수입국의 구매 감소 및 남미의 생산량 증가 전망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유채씨유와 해바라기씨유는 수출용 물량이 전세계적으로 충분히 유지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육류의 경우, 전월(112.1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12.0포인트를 기록했다. 가금육의 경우, 주요 생산국의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에도 불구하고 공급 물량이 충분하고 수요가 둔화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상승했는데, 유럽의 국내 수요 증가 및 도축용 돼지의 공급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소고기의 경우 국제적으로 수요가 공급과 균형을 이루며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35.0포인트) 대비 3.6% 하락한 131.3포인트를 기록했다. 특히 버터와 탈지분유를 중심으로 모든 유제품의 가격이 하락했다.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의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수입 수요 약화가 지속되는 추세이고, 서유럽에서는 버터, 치즈, 탈지분유를 포함하여 유제품 수출 공급량이 증가한 것이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설탕의 경우, 전월(116.8포인트) 대비 6.9% 상승한 124.9포인트를 기록했다. 인도의 생산량 전망이 하향 조정되며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다만 태국의 양호한 수확 진행 상황, 브라질의 풍부한 강수량, 국제 원유 가격 및 브라질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은 상승폭을 다소 완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2/23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2022/23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73.8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1.3%(37.3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23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780.0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0.6%(17.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23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44.3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1.2%(9.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도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