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월 1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양자기술특별위원회(이하 “양자특위”) 제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과 중국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사활을 건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방국 중심의 기술 결속(기술 블록화)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자기술,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5G•6G) 등 첨단 전략기술이 주요 기술협력의제로 논의되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첨단전략기술 선정 및 관련 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첨단전략 기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전략기술의 핵심인 양자기술 선점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정부는 지난 4월「양자기술 연구개발 투자 전략(’21.4.30)」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에 신설된 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양자기술특별위원회는 선도국과의 기술격차가 큰 양자기술의 경제․산업․안보적 활용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나가는 민․관 합동 위원회로서 의미가 크다.
동 위원회에는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 감지기, 양자 기초․기반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 11명과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국방부, 방사청, 국정원 등 6개 부처 정부위원을 포함하여 총 19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또한 안건의 심층적 검토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실무위원회를 운영하고, 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재외과학자도 특별자문으로 참여한다.
금번 1차 위원회에서는 「양자특별위원회 운영계획(안)」을 심의하고, 「우리나라 양자기술 지원 현황」을 보고받았다.
“(제1호) 양자기술특별위원회 운영 계획(안)”에서는 양자특위의 운영 방향을 크게 3가지로 제시했는데, ▴첫째, 전 분야에서 신속한 양자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기술․산업․안보 관련 범부처의 이해도를 높이고, ▴둘째, 양자산업 태동기인 현 시점에서 기술 확보와 활용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을 마련하며, ▴셋째, 민-관이 협력하여 대규모 양자기술 사업(프로젝트)을 적극 발굴하고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2호) 우리나라 양자기술 지원현황”에서는 우리의 기술수준과 현황을 살펴보고, ‘22년 이후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우리나라의 양자기술 수준은 양자기술은 최선도국 대비 81.3%, 특히, 양자컴퓨팅 기술은 71.8% 수준으로 타 정보통신기술(이동통신 97.8%, 인공지능 87.4%, 2019 정보통신기술 기술수준조사)대비 현격히 낮아 기술 격차를 빠르게 줄여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양자기술 분야 연구개발 예산으로 699억원(정부안, 전용사업 기준)을 편성했으며, 이는 작년(328억원) 대비 2배를 넘는 수준이다.
지난 4월 발표된「양자기술 연구개발 투자전략(4.30)」에 따라 내년부터 국내 양자컴퓨팅 시스템 구축, 양자인터넷원천기술개발이 새롭게 착수된다. 또한 양자기술을 첨단 산업분야에 개발하기 위한 산업 타겟형 양자센서 및 국방용 원격․정밀 탐지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양자기술분야 국제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도 크게 확대될 예정이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양자기술은 우리 미래 산업․안보의 판도를 바꿔 놓은 파괴적 혁신기술(국면전환자)인 만큼, 투자 전략(사고 틀)도 과거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면서 “다양한 양자기술 유망 분야를 폭넓게 지원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씨앗기술이 나타났을 때 선택과 집중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개발 이후 산업화를 추진하는 단선적 발전전략이 아니라,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나선형적 발전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양자특위를 중심으로 민․관이 머리를 맞대 양자기술 인력양성, 기술이행안, 산업․안보 활용방안 등 전략을 마련하고, 양자기술 확보를 위한 총력전을 펼쳐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