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고용노동부, 상생협력의 봄바람, 인천-석유화학업 미래의 새순을 돋우다

인천 지역 석유화학업의 원하청 격차 해소를 위한 상생협의체 발족

고용노동부는 3월 27일 인천광역시청에서 ‘인천-석유화학업 상생협의체 발족식’을 개최했다. 이번 발족식은 인천 지역 석유화학업계의 상생협력 모델 확산을 위한 첫걸음이다.

상생협의체는 원청사, 협력사, 전문가와 정부로 구성된 협의기구로, 원하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이행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2023년부터 지역ž업종 단위로 상생협력 모델 확산을 추진 중이다. 원하청 간의 임금, 복지, 근로여건 등의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수라 보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상생협의체 운영과 협력과제의 이행에 필요한 행ž재정적 지원을 한다.

이번 인천-석유화학업 상생협력 모델은 세 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첫째, 위기 산업인 석유화학업을 지원한다. 인천은 수도권 유일의 석유화학 단지가 있다.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요 둔화 상황에서 국가 경제의 중추인 석유화학업의 경쟁력이 흔들리지 않게 상생협력으로 공고히 한다.

둘째, 인천광역시가 주도한다. 산업은 지역 경제의 한 축으로 상생협력 모델의 성공과 확산을 위해서는 지역 상황에 맞는 세밀한 분석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할 필요가 있고 인천광역시는 2024년 고용노동부 지역혁신프로젝트 사업 최우수등급(S) 기관으로 전문성이 높다.

셋째, 대기업인 SK인천석유화학이 참여한다. SK인천석유화학은 기존에도 협력사를 함께 땀 흘리는 가족으로 인식하고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 원청사 구성원이 기본급의 1%를 자발적으로 내면 기업이 매칭하는 ‘1% 행복나눔기금’이 대표적이다. 기금은 협력사와 지역사회를 위해 쓰인다. 대기업 원청사 참여는 상생협력의 신뢰를 높이고 확산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이번 발족식을 통해 상생협의체의 추진 방향이 논의됐고, 협력 의지를 다지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향후 구체적인 상생협력 과제를 찾아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협약 이행을 위한 세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 특성상 안전하고 건강하며 쾌적한 일터 조성과 지역 사회 인력난 해소가 중점 추진될 예정이다.

김유진 노동정책실장은 “원청사와 협력사의 상생협력은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하며, “상생협력을 통해 인천-석유화학업이 위기를 딛고 한층 더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를 바란다”라고 했다.


[보도자료출처: 고용노동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