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 구보할 때 ‘푸른 소나무’를 힘차게 부르면 ‘군부심’(군인의 자부심)이 가슴에 차오릅니다.”(육군32보병사단 한○훈 병장)
“힘들 때 큰 소리로 ‘전선을 간다’를 부르면 왠지 가슴이 벅차오르고 기운이 납니다.” (육군50보병사단 인○수 상병)
“행군의 끝자락, 마지막 고비 앞에서 누가 시킨 적도 없는데 군가 ‘전우’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죠.” (육군수도방위사령부 강○호 일병)
군인의 사기와 자부심을 높여주는 ‘군가의 힘’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 MZ세대 병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군가를 부르면 사기·단결력·전투의지가 상승한다’고 긍정 응답한 비율이 무려 99.4%에 달한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군가를 부르며 고된 훈련 속에 힘을 얻고, 군인으로서 사명감과 자부심을 느끼는 등 그 효과를 몸으로 느꼈다는 병사들이 경험담이 다수 접수돼 눈길을 끈다.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는 지난 2월 22일부터 3월 3일까지 현역 병사 489명을 대상으로 ‘가장 좋아하는 군가’ ‘군가를 통해 힘을 얻은 경험’ ‘군가의 긍정적 기능에 대한 인식’ 등 ‘군가’를 주제로 병영차트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MZ병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군가 1위는 ‘푸른 소나무’로 집계됐다. 전체 응답자의 4분의 1(27.6%)이 넘는 병사들이 이 곡을 최고의 군가로 꼽았다.
1997년 제작된 ‘푸른 소나무’는 선배 전우들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나라를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는 군인의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 비교적 최신 군가로서 과거 군 생활을 마친 이들에겐 낯설 수 있지만, MZ병사들에게는 훈련소와 자대 등 군 생활에서 가장 자주 접하고 부르는 군가 중 하나다. 따라 부르기 쉽고 서정적인 가사와 웅장하고 세련된 멜로디 전개가 특징인 곡이다.
‘푸른 소나무’를 최고의 군가로 꼽은 육군5보병사단 최○오 상병은 “애국심을 일깨우고 나라에 헌신해야겠다는 마음이 샘솟는다”라며 “1년 6개월간 군 생활을 잘 해내야겠다는 각오를 다지게 만든 곡”이라고 밝혔다. 육군39사단 윤○열 이병도 “뜀걸음할 때 ‘푸른 소나무’를 머리 속에 떠올리면, 한 걸음이라도 더 내디딜 수 있을 것 같은 힘이 생겼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밖에도 병사들은 ‘푸른 소나무’에 대해 “외우기 쉽고 부르기 쉽다” “다른 군가와 차별적이고 개성있다” “후렴구 가사와 멜로디가 가슴을 벅차오르게 한다” “국가를 위해 끝까지 싸울 수 있는 전투 의지를 심어준다” “고된 훈련으로 지칠 때 부르면 힘이 난다” “어려운 순간을 이겨낼 수 있도록 용기를 준다” 등 호평을 남겼다.
2위는 일명 ‘군가의 클래식’으로 통하는 ‘전선을 간다’(24.5%)가 차지했다. 최전선에서 죽어간 전우들을 떠올리며 전투에 임하는 군인의 각오와 결의를 담고 있는 곡이다. 특유의 비장한 멜로디와 가사로 세대를 초월해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1위와 근소한 차이로 2위에 오르며 예비역은 물론 MZ병사들에게도 인정받는 우리 군의 대표 군가임을 증명했다.
육군8기동사단 김○수 일병은 “실제로 전장에 투입된 듯한 느낌을 주는 가사가 인상적”이라며 “나라를 지키다 이름 모르게 스러져간 호국 영웅들을 떠올리게 해 애국심을 고취시킨다”고 ‘전선을 간다’를 1위로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육군5보병사단 류○현 병장은 “겨울철 훈련 시 정말 힘들어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있었지만, ‘전선을 간다’를 마음속으로 부르면서 나의 임무에 대한 목적과 이유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힘을 얻었다”고 전했다.
MZ병사들의 군가 3위는 ‘구보(뜀걸음) 군가’의 대명사로서 전우애를 소재로 한 ‘전우’(13.3%)로 집계됐다. 다른 군가에 비해 비교적 짧아 외우고 부르기 쉽고, 리듬 타기 좋은 박자, 함께 고생한 전우들과의 추억이 떠오르는 가사 등으로 많은 지지를 받았다.
주한미8군한국군지원단 서○현 일병은 “훈련 때 ‘전우’를 부르면 힘이 솟아나고 가슴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꼈다. 훈련 속의 영양제였다”는 경험담을 전했다.
이외에도 많은 병사가 “군가 ‘전우’를 부르면 함께 고생한 전우들이 생각나 마음이 뜨거워진다” “전우들과 추억이 떠올라 서로를 더욱 의지하게 만드는 곡” “훈련이나 작전 준비 때 ‘전우’를 부르면 옆에 있는 동료가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등 다양한 이유로 ‘전우’를 최고의 군가로 꼽았다.
4위는 ‘아리랑 겨레’(8.0%)가 차지했다. 우리의 전통 가락 ‘아리랑’ 선율에 ‘군인의 긍지’를 담아 만든 이 군가는 친숙하면서도 애국심을 북돋우는 곡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병사들은 “익숙한 멜로디라 따라부르기 쉽고, 가사에 울림이 있다” “민족성이 느껴지며 애국심이 고양된다”고 이유를 밝혔다.
5위에는 ‘진짜 사나이’(4.9%)가 이름을 올렸다. 경쾌한 리듬의 ‘진짜 사나이’는 군인의 기상을 잘 담아낸 곡으로 부르면 자연스럽게 활기와 자신감이 생긴다는 반응이 많았다. 병사들은 “신나는 박자에 맞춰 부르다 보면 힘이 절로 난다” “군인다운 자신감이 느껴진다”며 이 곡을 좋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진 순위는 6위 ‘멸공의 횃불’(4.7%), 7위 ‘승리의 함성’(4.1%), 공동 8위 ‘진군가’(1.6%)·‘멋진 사나이’(1.6%), 10위 ‘조국을 위해’(1.4%)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군가의 긍정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MZ병사들의 굳건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설문 참여자 가운데 99.4%에 달하는 절대다수의 병사들이 ‘군가는 군인의 사기·단결력·전투의지 상승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것.
육군35보병사단 이○환 병장은 “훈련병 시절 뜀걸음 할 때 군가를 부르면 애국심과 전우애가 불타면서 많은 힘을 얻었다”고 강조했다.
국방일보는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MZ병사들의 군가 선호도를 토대로 ‘군가 MV(뮤직비디오)’를 제작, 유튜브 채널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군가의 가치를 확산하고, 장병들의 자긍심과 우리 군의 결속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채일 국방홍보원장은 “군가는 세대를 초월해 장병들의 사기와 전투력을 고양하고 정신력을 강화하는 우리 군의 핵심적인 문화 콘텐츠”라며 “앞으로도 군가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제작해 장병들과 적극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방일보 병영차트는 매월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해 장병들의 의견을 듣고 순위를 매겨보는 소통·참여형 국방 콘텐츠다. 조사는 대국민 국군 소통서비스 더캠프 앱에서 온라인 의견수렴 방식으로 이뤄진다.
설문 결과는 국방일보 신문 지면과 온라인 홈페이지, 공식 뉴미디어 채널 등에서 기사, 영상, 카드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로 만나볼 수 있다.
[보도자료출처: 국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