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농촌진흥청, 중대립쌀 품종 판별 기술 설명회 열어

19일, 식량원 본원서 전북특별자치도 대상 ‘중대립쌀 품종 판별 기술 설명회’ 열어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중대립쌀 품종 판별 기술에 분자표지를 추가해 정확도를 높이고, 3월 19일 국립식량과학원 본원(전북특별자치도 완주)에서 ‘중대립쌀 품종 판별 기술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종자원 전북지원,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및 농업기술센터 식량작물(현장 실증) 담당자 등이 참석해 중대립쌀 품종 판별 체계에 대한 설명을 듣고, 검정법 시연을 지켜봤다. 또한, 전북특별자치도 주관으로 ‘신동진1’ 현장 실증 교육이 있었고, 종자 약 1톤 분량을 배부했다.

중대립쌀은 쌀알이 일반 쌀보다 1.3배 가량 크다. 유전적 특성이 비슷한 품종이 많아 판별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특히, 전북특별자치도를 대표하는 중대립쌀 ‘신동진’과 ‘신동진1’은 유전적 유사도가 95.3%로 높아 기존 품종 판별 기술로는 구별하기 어려웠다.

품종 판별 기술은 디엔에이(DNA) 분자표지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 보유 유무를 확인하는 판별법이다. 연구진은 기존 기술에 키다리병 저항성(qFfR1)과 저장성(LOX3) 관련 유전자를 탐색할 수 있는 분자표지를 추가해 ‘신동진1’ 판별 정확도를 높였다. 이에 따라 중대립쌀 품종 간 혼입을 방지, ‘신동진1’뿐만 아니라 다른 중대립쌀의 순도 유지와 상표(브랜드) 관리에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와 업무협약을 맺고 관련 기술을 공유, 중대립쌀 상표 관리에 꾸준히 협력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품종 판별 기술이 ‘벼(쌀) 품종 검정 지침(매뉴얼)’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논의할 계획이다.

‘신동진1’ 시범 사업 관계자는 “‘신동진1’이 다른 중대립쌀과 쉽게 구분되지 않아 상표 육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번 품종 판별 기술 개발로 품종 혼입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기초식량작물부 박기도 부장은 “품종 판별 기술 정확도가 높아진 만큼 중대립쌀 상표 관리도 훨씬 용이할 것 같다.”라며 “관련 유관 기관과 적극 협력해 ‘신동진1’ 상표 고유성을 유지하는 데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농촌진흥청]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