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3월 25일, 세빛섬 플로팅 아일랜드에서 ‘2024년 제1차 한국 마이스산업 발전협의회’의 일환으로 ‘마이스 글로벌 도약 선포식’을 개최했다. 한국 마이스산업이 세계적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민관협력을 다짐한 이 자리에는 유인촌 장관을 비롯한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마이스산업 관계자 등 200명이 함께했다.
한국 마이스산업 미래 비전 위한 전략으로 ? 국제회의 건수 1위, ? 외국인 참가자 수 130만 명, ? 외화 획득액 30억 달러 달성 추진
한국 마이스산업은 코로나19 이전인 ’16년부터 ’19년까지 국제회의 개최 순위[국제협회연합(UIA) 기준] 세계 1~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국제회의 개최 건수가 이전 대비 30% 수준으로 낮아졌고 수도권 중심의 지역 편중이 나타나 마이스산업의 재도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문체부는 ’28년까지 지역과 상생하고 미래로 혁신하여 케이-마이스 시대를 열기 위해 국제회의 개최 건수 1,400건(세계 1위), 외국인 참가자수 130만 명, 외화 획득액 30억 달러 달성을 3대 목표로 정하고, 3시(C) 전략을 추진한다. 첫째, 지역, 민간과의 협력(Collaboration)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마이스산업 기반을 구축한다. 둘째, 마이스 유형의 다양한 융합(Convergence)을 촉진해 마이스산업 외연을 확장한다. 셋째, 마이스기업과 산업의 세계 경쟁력(Competitiveness)을 확보한다.
지역·민간과의 협력 강화: ‘지역 시그니처’ 국제회의 발굴, ‘마이스 원벨트’ 구축, ‘마이스 해외유치 거점망’ 확대
우선, 한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시그니처 국제회의’가 지역 곳곳에서 꽃피울 수 있도록 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한다. 지역 마이스 전담조직이 지역전략산업의 ‘시그니처 국제회의’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역 시그니처 국제회의’가 ‘한국판 다보스 포럼’과 같이 성장해 케이-마이스의 발전까지 이끌도록 단계별로 뒷받침한다.
또한, 지역의 마이스 개최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국제회의복합지구 제도를 개편한다. 국제회의복합지구란 국제회의시설을 중심으로 호텔, 쇼핑몰 등 연관 시설을 집적화한 곳으로, 현재 7개소에서 2개소 추가 지정한다. ‘예비 국제회의 지구’를 신설해 발전 가능성은 있으나 법적 요건으로 정책적 지원에서 소외됐던 지역의 성장도 돕는다. 아울러 국제회의 유치, 홍보, 개최, 관광코스 제공 등 전반의 과정에서 인근 지역들이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국제회의복합지구를 연계하는 ‘마이스 원벨트’ 구축을 지원한다.
’28년까지 외국인 참가자가 1,500명 이상인 대형 국제회의 10개 유치를 목표로 관광공사 해외 지사에 설치된 ‘마이스 해외유치 거점망’도 9개소에서 18개소로 2배 확대한다. 이에 대응하여 관광공사와 함께 지자체, 지역 마이스 전담조직, 마이스 업계 등으로 구성한 지역 ‘민관협력 공동 유치위원회’를 한국 마이스산업 발전협의회를 통해 운영할 계획이다.
마이스 경계를 넘은 융합: 대형 국제이벤트화 지원, 케이-컬처 연계 등으로 마이스 사업 모델 다각화
한국의 높아진 국제적 위상과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 인기 현상에 걸맞게, 국제회의의 유치 지원 중심 정책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만들어진 케이-마이스의 발굴과 육성을 위해 전략적 지원을 강화한다. 기존의 국내 회의, 소형 국제회의여도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 잠재력이 있다면 적극 발굴해 ‘케이-마이스’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케이-마이스가 전시·공연·축제 등 문화콘텐츠, 스포츠 행사 등과 융합해 한국만의 독특한 대형 국제이벤트로 성장하도록 마이스 지원 정책을 유연화한다.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케이-컬처의 인기를 마이스산업에도 연계한다. 기업 회의, 포상관광 등 방한 단체 참가자를 대상으로 국가별 맞춤형 케이-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시박람회 등에 방한한 개별 참가자에게는 디지털 안내 서비스를 운영해 맞춤형 문화관광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한국 재방문을 유도하는 케이-마이스 사업 모델을 구축한다.
마이스산업 세계 경쟁력 확보: 디지털 기술 이용권 제공, 맞춤형 인력양성
‘디지털 혁신 마이스 프로젝트’를 가동해 마이스 행사에서 필요한 인공지능(AI), 위치기반 서비스 등의 디지털 기술을 이용권(바우처) 형태로 마이스 기업에 제공한다. 또한 마이스산업 전문 인력을 양성할 뿐만 아니라 예비 인력과 경력단절자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마이스산업의 맞춤형 인력을 양성한다. 마이스산업 조사 승인 통계화 및 특수분류를 추진해 마이스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업 기반도 마련한다.
문체부는 이번 선포식 이후 ‘2024년 제2차 한국 마이스산업 발전협의회’부터 ‘한국 마이스산업 미래 비전 실현 위한 3시(C) 전략’을 심도있게 논의하고 의견수렴을 거쳐 ‘제5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유인촌 장관은 “마이스산업이 세계적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민관협력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라며, “문체부도 케이-마이스 시대를 열어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문화체육관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