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지식재산(IP) 금융 규모가 2020년 사상 최초로 2조원 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에 따르면, 지식재산 금융 규모는 2019년에 1조원을 달성한데 이어, 2020년에도 전년 대비 52.8% 급증하여 2조 640억원을 달성하였다.
금융 유형별로는 지식재산권을 담보로 하여 실행하는 IP 담보대출액 1조 930억원, 지식재산권을 기반으로 보증서를 발급하는 IP 보증액 7,089억원, 우수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기업 또는 지식재산권에 직접 투자하는 IP 투자액 2,621억원이 기업들에게 공급되었다.
지식재산 금융 확대를 통해, 물적 담보가 부족하고 신용도가 낮은 특허기반 혁신기업에 집중적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코로나 19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경영난을 극복하는데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IP 담보대출 기업 1,608개사를 조사한 결과, 신용등급이 높지 않은 기업(BB 등급 이하) 대출이 74.4%(1,197개사)를 차지하였으며, 대출금리도 2% 내외로 평균 3~4% 대인 중소기업 신용대출 금리보다 낮아 기업의 부담을 덜어 주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IP 담보대출액은 전년대비 2.5배 증가하여 1조원을 돌파하였다. 이는 민간 은행이 적극 참여한 결과로서, 민간 은행 대출이 전체 대출액의 68.5%(7,483억원)을 차지하였다.
2020년에는 기업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이 우수 특허를 보유한 기업을 대상으로 IP 담보대출 신규 공급을 대폭 확대하였으며, 자금부족으로 특허기술 상용화를 포기하려던 중소·벤처기업이 IP 담보대출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사례도 발생하였다.
중소기업 G사는 코로나19 백신물질 개발 관련 임상시험 자금이 필요하였으나 대출한도 소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차에, 유전자가위 특허 7건을 담보로 운영자금 20억원을 대출받아 백신물질 개발을 추진 중이다.
IP 보증서 발급액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향후 보증기관 정책자금을 통해 IP 보증서 발급이 지속될 예정으로 ‘21년에는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온라인 평가시스템을 활용한 보증은 2,500억원을 달성하여 전년(1,730억원) 대비 44.5% 증가였는데, 이는 신속한 평가를 통해 자금을 제때 확보하려는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온라인광고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G사는 최근 매출액이 발생하지 않아 금융권으로부터 운영자금 확보가 곤란하였으나, 기술보증기금에서 온라인 평가를 통해 발급받은 IP 보증서로 은행 대출을 받아 원활한 회사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IP 투자액은 2,621억원으로, 지식재산 금융투자 활성화 정책(2020.7월 발표) 추진, 민간 투자기관의 IP 투자 인식제고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35.6%(688억원) 증가하였다.
또한 유망 특허기술 자체에 투자하는 IP 직접투자액도 전년실적(113억원) 대비 4배 증가한 462억원으로 집계되었다.
중소기업이 IP 투자를 유치하여 소재·제품 국산화에 성공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LED·반도체 소재생산 중소기업인 L사는 소재 관련 특허가치를 기반으로 특허계정 子조합으로부터 2013년 16억원을 투자받아 소재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2020년 기준 태양전지용 소재(TMA) 전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특허청 박호형 산업재산정책국장은 “IP 금융이 성장기로 진입한 만큼 금융시장 내의 자생적 확산이 중요하다.”라면서, “특허청은 금융시장에 고품질 IP 가치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혁신기술 기업에 대한 금융시장 자금지원이 활성화되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특허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