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도시, 지역을 밝히는 로컬콘텐츠 발전소

2023 올해의 문화도시 서귀포 선정, 18개의 문화도시 성과 발표

문화체육관광부는 2월 23일, 서귀포 칼호텔에서 올해의 문화도시로 서귀포시를 선정했다고 밝히고, 2022년 문화도시 성과를 발표했다.

문체부는 문화도시심의위원회(위원장 정갑영)와 함께 2022년 한 해 동안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한 18개 문화도시의 성과를 점검하고, 문화를 통한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최우수 도시로 서귀포시, 청주시, 춘천시, 완주군, 밀양시 등 5곳을 선정했다. ‘올해의 문화도시’는 최우수 도시 중에서도 문화도시를 대표하는 1곳을 매년 선정하는 제도로, 서귀포시는 첫 ‘올해의 문화도시’로 선정됐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지역중심 문화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문화도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화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문체부 장관이 지정하는 도시를 말한다. 문체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1차 문화도시 7곳, 제2차 문화도시 5곳, 제3차 문화도시 6곳, 제4차 문화도시 6곳 등, 총 24곳의 문화도시를 지정했다.

문체부는 2022년에 1차부터 3차 문화도시 총 18개 도시에 각각 국비 15억 원을 지원해 ▲ 지역문화 여건 개선, ▲ 지역 고유 문화기반 문화콘텐츠 발굴 및 지원, ▲ 창의적인 문화인력 양성 등 문화로 지역이 발전할 수 있도록 종합적·체계적으로 뒷받침해왔다.

박보균 장관은 “문체부는 지난 2개월간 문화도시 현장을 직접 방문해 제1차 문화도시가 사업을 시작한 이후부터 3년간 추진된 사업의 성과를 점검했다. 지역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해 새롭게 디자인하고 도시의 경쟁력과 차별화를 끌어내는 것이 문화도시의 핵심이다. 어느 지역이든 차별받지 않고 문화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지역주민의 자부심과 만족도를 높이겠다. 올해의 문화도시 서귀포와 함께 문화로 지역이 발전하는 롤모델을 보여드리겠다.”라고 밝혔다.

올해의 문화도시 서귀포를 방문한 전병극 제1차관은 2022년 한 해 동안 18개 문화도시에서 추진한 사업의 성과점검 결과를 토대로 5대 성과를 발표하고, 서귀포시에 ‘2023 올해의 문화도시’ 현판을 수여했다.

[105개 마을이 가꾸는 노지(露地)문화 서귀포]

서귀포는 멋스러운 자연경관과 105개의 자연부락(마을)을 품고 있는 지역이다. 문화도시 서귀포는 한라산, 오름, 숲, 들, 해안, 바다 등 자연과 함께 살아온 서귀포인의 삶이 문화가 되는 ‘노지문화’에서 시작한다. ‘노지문화’는 서귀포 문화의 원천이자, 미래를 열어주는 문화자산이다. 서귀포는 105개 마을의 다양한 노지문화를 바탕으로, 서귀포 시민과 함께 미래세대를 위한 세계 생태문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제1차 문화도시로 지정됐다.

▲ 노지문화를 누릴 수 있는 문화기반을 조성하는 ‘생태문화씨앗’, ▲ 미래세대를 위해 문화경제의 기반이 되는 ‘미래문화텃밭’, ▲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서귀포 인재를 키우는 ‘창의문화농부’, ▲ 농업과 관광도시 서귀포를 국제적인 문화도시로 만드는 ‘서귀포다운 문화도시 브랜드 구축’, ▲ 지역주민 주도 문화도시 기반 구축 등 5대 핵심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2022년에는 ▲ 카페, 책방, 공방 등 민간소유 공간을 지역주민 문화활동 공간으로 활용하는 ‘마을라운지’를 47개소 조성해 105개 마을이 겪는 심각한 문화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자 노력했다. ▲ 노지문화축제-마을산책-노지마켓 등을 통합 운영해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했다. 특히, 옛 생활문화중심지 성읍마을의 600년을 기념하는 ‘성읍예술잔치’, 성읍 공예가가 참여하는 노지마켓, 사라져 가는 서귀포 중산간 마을의 목축문화를 따라가는 ‘마을 공동목장’ 산책프로그램을 통합 운영해 주민과 관광객의 큰 호응을 얻었다. ▲ 해녀가 물질할 때 사용하는 테왁망사리 전통 기법을 활용한 그물가방(네트백) 제작으로 전통노지문화의 맥을 이어가고, 고령층의 일거리 창출 기반도 마련했다.

[2022년 문화도시 주요 성과]

서귀포를 포함한 전체 문화도시가 2022년 한 해 동안 추진한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문화발전 중장기 전략 수립, 지역문화재단 설립 등 지역 주도의 문화 정책 추진체계 마련 촉진

2018년 문화도시 추진계획 발표 이후, 전국 광역·기초지자체 243곳 중 42%에 달하는 103곳이 지역 주도로 도시의 고유한 문화 여건을 진단해 도시가 발전할 수 있는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88개 지자체가 ‘문화도시 조례’를 제정하는 등 문화가 지역발전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 특히, 기초지자체 단위 문화재단의 수가 ’18년 71개에서 현재 117개로 급증하는 등 지역이 주도하는 문화정책 추진체계를 마련하는 데도 기여했다.

2. 지역 문화공간의 확대와 이를 활용한 문화프로그램으로 지역 문화여건 개선

지역 문화시설, 문화프로그램 확충으로, 도심 곳곳에서 누구나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했다.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형 문화거점시설’부터 슬리퍼를 신고 마실가듯 즐길 수 있는 ‘동네문화공간’ 까지, 18개 도시에 3,407개의 문화공간을 조성·활용해 경제적·지리적으로 문화접근이 부족한 지역의 문화여건을 개선했다. 빈집, 카페, 공방, 서점 등 유휴공간·민간공간을 적극 활용하는 전략으로, 대규모·공공시설 건립 없이도 2022년 한 해 동안 18개 도시 전체 인구 750만 명의 33%에 달하는 250만명(중복 참여자 포함)이 지역문화를 향유했다. 특히, 완주군은 지리적 제약 및 도농복합형 지역 특성을 고려해 경로당, 마을회관 공간을 연계한 ‘별별마을회관’ 사업과 농한기 문화활동 지원 사업 등을 펼쳐 ‘도시와 농촌이 만나 문화로 완성되는 도시, 문화로 정주하는 도시’를 이뤄나가고 있다.

춘천시는 구도심의 방치된 빈집과 빈 상가를 활용해 문화 활동 공간으로 조성 운영하고, 치킨집, 짬뽕집, 볼링장 등을 공간 주인장이 문화 활동 공간으로 기획해 시민들과 공유하는 ‘도시가 살롱’ 사업 등을 펼치며 시민이 피부로 느끼는 생활 밀착형 문화도시를 만들어가고 있다.

3. 지역 고유문화를 활용한 새로운 도시브랜드 창출

문화도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 역사, 예술 자원을 활용해 지역의 새로운 도시브랜드를 창출했다. 부산 영도구는 도시의 특정 장소나 특산품을 표방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와 연결된 섬 문화 특성을 ‘한선잇기’ 브랜드 방식으로 구현해 2022년 한해에만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에서 3관왕에 오르는 쾌거를 이루었다.

4. 로컬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해 지역경제 활성화

문화도시가 지역을 살리는 로컬콘텐츠의 발전소가 되고 있다. 청주는 지역의 역사적 상징 ‘직지’를 모티브로 한 기록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육성해, 로컬콘텐츠가 세계적 콘텐츠가 되도록 뒷받침했다. 2022년에는 지역특화 예술콘텐츠를 발굴하는 ‘메이드 인 청주’ 사업으로 창작오페라 ‘오페라 청주아리랑’을 제작·공연해 지역을 넘어 K-오페라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또한 청년의 로컬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청년문화상점 굿쥬’ 사업을 통해 로컬브랜드 20개 팀의 200여 종 상품(굿즈)이 개발되어, 일본 오사카 우메다 굿즈숍 ‘한타임(韓time)’에 입점하는 등 로컬콘텐츠의 세계 진출도 지원하고 있다.

5. 다양한 도시 정책들이 연계?협력하는 장으로 기능하는 문화도시

문화도시 지정으로 도시 정책이 문화적 관점으로 재편되는 등 문화도시가 다양한 지역정책의 연계·협력 플랫폼이 되고 있다. 밀양시는 10여 년 동안 도시의 폐물로 방치된 (구)밀양대 캠퍼스 부지를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햇살문화캠퍼스’로 조성했는데, 이 캠퍼스가 행안부의 소통협력공간조성사업, 경남교육청의 지혜의 바다 도서관사업, 교육부의 폴리텍 대학 조성사업 등과 연계되어 활용됨으로써 부처 간·지역 간 연계 협력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문화균형발전 선도]

2023년에는 1차~4차 문화도시 24곳에 총 364억 원을 지원해 지역 주도로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시 간 연계·협력하는 문화균형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문화도시’를 신규로 7곳 내외를 지정할 계획이다.

[보도자료출처: 문화체육관광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