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수출이 6,845백만불(‘20.11월)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해외 여건 변화에도 불구, 신속한 정책 지원으로 농식품 수출액은 사상 최대치를 달성 중이며, 그 중, ‘신남방’ 지역의 농식품 수출이 전년 대비 8.4%가 증가하여, 사상 처음 일본을 제치고 1위 수출권역으로 부상했다.
태국(9.8%↑), 인도네시아(4%↑), 필리핀(33.1%↑), 싱가폴(19.8%↑), 말레이시아(23.1%↑), 인도(34.7%↑) 등 대부분 신남방 지역 국가에서의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어, 농식품 수출을 견인하는 차세대 핵심 시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농식품부는 신남방 국가의 국가별 특성에 맞는 품목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판매 플랫폼 구축 등 수출 기반을 강화하고, 코로나19로 온라인·비대면으로 급변하는 유통변화에 맞게 마케팅 지원을 추진해왔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식 수요 증가와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된 배달앱(O2O) 확대로 면류(138백만불/16.1%↑), 소스류(54/15.8%), 조제분유(24/43.9%), 김치(8/55.2%↑), 유자차(6.4/160.3%)가 증가하였으며, 첫 검역 타결로 수출길이 열린 베트남 단감(45.4%↑)을 비롯해, 포도(34.5%↑), 닭고기(12.3%↑), 인삼(6.9%) 등 신선 농산물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 기간 ‘이태원클라쓰’ 등 한류 드라마의 인기와 ‘슬기로운 집콕생활’ 등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떡볶이·비빔밥·김치볶음밥·고추장불고기 등 한식 레시피가 유행하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건강식품인 ‘인삼’, 메인 식재료인 ‘고추장·김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즉석 떡볶이·라면’, 포도·단감 등 후식용 고급 과일까지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농식품부는 베트남·인도네시아·싱가폴 등 현지 대형유통매장과 온라인 구매를 결합한 온·오프라인 플랫폼 확대로 생산농가 및 중소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대형 유통매장내 한국식품 상설 판매관(‘I-Like K-Food’, 공동브랜드관)을 구축하고, 현지 배달앱과 온라인 전자상거래플랫폼을 연동하는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신남방 지역에서 동시에 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플랫폼(쇼피·큐텐)과 사회관계망(SNS) 쇼셜커머스(페이스북·라인·인스타그램 등)를 활용하여, 분야별 전문 파워인플루언서와 함께 라이브 특판전 등 다양한 마케팅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농식품 상설판매관 = 품질 좋은 한국 식품 구매 창구’로서 인지도가 상승되고 있다.
신남방 지역은 미국·중국·일본에 집중된 수출 시장의 다변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시장으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협정을 통해 수출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RCEP 발효로 즉시 관세가 철폐되는 품목 중심으로 조기에 ’고품질·프리미엄‘ 농식품으로 자리매김이 될 수 있도록, 품종개발부터 상품개발, 수확 후 저장기술, 선도유지, 선별·포장개선, 항공에서 선박 전환을 통한 물류비 절감, 마케팅까지 단계별 촘촘한 정책으로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수출의 핵심 수단인 ’한류‘를 정책적으로 적극 활용하여 한국 식품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보다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을 추진하고, 동남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한국식품 전문 판매관‘을 구축하여, 오프라인 플랫폼과 유기적으로 연계, 국가별 시장 여건에 적합한 유망 제품의 입점과 판매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김종구 식품산업정책관은 “글로벌 경기 둔화, 물류 여건 악화로 우리 기업의 수출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나,
국가별 전략 품목 선정과 적극적인 온·오프라인 기반 구축 확대로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코로나 대응으로 높아진 한국의 위상을 활용해, 보다 많은 우리 식품 기업들이 신남방에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