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앞두고 백령도(인천 웅진군), 수도권(서울 은평구), 제주도(제주 애월읍)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국경을 넘어 장거리로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 23종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초미세먼지(PM2.5) 등 12종은 2019년 한해 동안 측정한 값을, 벤젠 등 11종은 2019년 12월 1일부터 한달간 시범적으로 측정한 값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는 초미세먼지(PM2.5)를 제외한 20종에서 국내외 대기환경기준 및 권고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 2019년 한 해 동안 측정한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40㎍/㎥이며,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0㎍/㎥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수도권 대기환경연구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각각 46㎍/㎥와 26㎍/㎥이다.
제주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는 미세먼지(PM10) 농도는 24㎍/㎥,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11㎍/㎥(국내 대기환경기준의 48%, 초미세먼지는 73%)로 나타나, 21종 모두 국내외 대기환경기준 이하의 농도를 보여 지난해 한해 동안 쾌적한 공기질 환경을 보였다.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2019년 한해 동안 측정한 납 및 그 화합물 성분의 평균 농도는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500ng/㎥) 이하로 나타났다. 비소, 망간, 니켈 및 그 화합물의 경우 대기환경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 및 캐나다 준거치 이하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의 총가스상 수은 평균 농도는 1.7ng/㎥으로, 수도권 지역인 은평구 불광동(1.3 ng/㎥)보다 다소 높았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1,000ng/㎥)보다 매우 낮았다.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 2019년 12월 한달간 측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클로로포름(0.09ppb)과 염화비닐(0.14ppb) 농도는 대기환경기준이나 세계보건기구 지침서(가이드라인)에는 없으나, 캐나다 온타리오 준거치(0.04, 0.08ppb)에 비해 높아 향후 지속적으로 관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9년 1월부터 백령도 등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23종의 측정을 위해 기존 운영 중인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금속(납, 칼슘, 비소, 망간, 니켈) 성분 외에 포름알데히드, 염화수소, 불소화물, 시안화물, 수은,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측정용 장비 6종 19대를 순차적으로 갖추고 관측 업무를 운영하고있다.
시안화물 측정기 등 신규 구축한 측정기는 국내 운영 사례가 많지 않아 운영상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고, 휘발성유기화합물 11종은 측정기간이 짧아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도출하기는 어려웠으나, 향후 지속적으로 측정 장비의 운영 안정성을 높여 정확도 높은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과 더불어 백령도를 비롯한 수도권 등의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을 집중 관측하고 분석하여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도자료출처: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