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김부겸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7월 21일 오후, 경주「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착공식을 개최하였다.
기획 단계에서 ‘(가칭)혁신원자력연구단지’로 출발한 연구소는 지난 5월, 지역주민 공모전을 거쳐 공식명칭을 ‘문무대왕과학연구소’로 확정하였다.
문무대왕과학연구소는 ▲ D.N.A(Data·Network·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원전 안전 혁신기술, ▲ 방폐물 안전관리 및 원전 해체기술, ▲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미래 혁신원자력 시스템 핵심기술의 연구-실증-산업화 R&D를 위해 구축되는 대규모 연구시설이다.
이번 사업은 2019년 7월 경상북도와 경주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업무협약을 통해 첫 발을 내디뎠으며, 같은 해 11월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정부 정책으로 확정하였다.
이후 지난해 2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여 금년 6월 30일 통과되었으며, 이로써 금년부터 2025년까지 5년 간 총 3,263억원(국비 2,453, 지방비 810) 투입이 확정되어 오늘 착공식에 이르렀다.
과기정통부와 원자력(연)은 2025년까지 총 연면적 45,508m2 규모로 첨단 연구·행정 시설, 방사성폐기물 정밀분석시설, 교육·협력 시설 등 총 16개의 연구기반·지원시설과 지역연계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원전 안전·해체, 미래 혁신원자력 시스템 등과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실증 시설 확충 등을 통해 문무대왕과학연구소가 원자력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 하도록 기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김 총리는 격려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원전 밀집도가 세계적으로 높은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에너지전환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원전 안전·해체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미래지향적 원자력 연구개발은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의 원자력 기술력은 포기할 수 없는 소중한 자산이고 문무대왕과학연구소가 원자력 기술 첨단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경상북도 및 경주시와 주민들께서도 함께 힘을 모아 줄 것”을 당부하였다.
[보도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